본문 바로가기

취미/책과 영화

김훈의 '현의 노래'를 읽고

현의 노래
카테고리 소설
지은이 김훈 (생각의나무, 2007년)
상세보기


 책을 읽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사람마다 다르고, 상황마다 다르고, 그때 그때 다르다.

 본인의 경우에는 간혹 한 작가의 작품에 열중하는 경우가 있다.
 이문열의 작품을 읽을 때 그러했고, 김진명, 온다 리쿠, 오쿠다 히데오의 작품을 읽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그 사람의 작품 하나가 마음에 들면 저절로 다른 작품을 찾아서 읽게 되고, 어느 순간엔 그 작가의 작품을 거의 다 읽게 되었던 것이다.

 최근엔 김훈의 작품에 빠져들게 되었다. 처음 접했던 '칼의 노래' 이후로 '남한산성', '자전거 여행', 그리고 이번에 읽게 된 '현의 노래'까지 그의 최근 대표작이라 부를 수 있는 작품들은 거의 다 읽어 본 셈이다.

 김훈 작품의 특징을 꼽으라면, 딱 두 가지로 요약해서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하나는 굉장히 사실감이 느껴지게끔 만드는 상세한 그의 묘사가 돋보인다는 점이고, 또 다른 하나는 상반되는 단어나 문구를 자주, 또 반복적으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특히 그의 묘사는 그로테스크하다고 표현할 수 있을 만큼 적나라하다. 다음은 그의 글 중 일부이다.

 왕의 항문은 조일 힘을 잃고 열려 있었다. 창자가 항문 밖으로 삐져나와 죽은 닭의 벼슬처럼 늘어졌고 오그라진 성기는 흰 터럭 속에 숨어 있었다.

- "현의 노래", p.44 -
 포로들은 모두 두개골이 으깨지고 창자가 터져서 죽었다. 겨울 들판에 김이 올랐다. 살점과 골편들이 튀어올라 기병들의 갑옷에 엉겨붙었고 말 정강이가 피에 젖었다.

- "현의 노래", pp.81~82 -

 가만히 읽고 있으면 매스꺼움이 느껴지기도 한다. 비위가 좋지 못한 사람에게 추천했다간 뭇매를 맞을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읽으면 읽을수록 빠져들게 만드는 것은 김훈의 필력이라고 밖에 생각할 수가 없다. 한 번 책을 잡기 시작하면 아무리 두꺼운 책이라도 몇 일이면 다 읽게 만든다.




 '현의 노래'는 가야금의 창시자로 알려진 '우륵'의 이야기이다. 철저하게 김훈 자신의 상상 속에서 부활한 우륵의 이야기로, 가야의 쇠퇴기를 살아가면서 겪는 우륵의 소리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

 소설 속에서 우륵의 모습은 '현실주의적' 인물이라고 볼 수 있다. '소리'라는 것은 '그 소리가 나고 있는 동안만의 소리'이며, '살아 있는 동안만의 소리'라고 주장하는 우륵은 멸망해가는 가야에 남아서 육신과 함께 소리를 죽이느니, 신라로 투항해 육신과 소리를 함께 보전하는 길을 택한다.

 가야의 입장에서 보면 변절자로 볼 수 있으나, 현실주의적인 관점에서 볼 때 우륵의 행동을 탓할 수 만도 없는 것이다. 비합리적인 제도 속에서 왕이 죽을 때마다 수 십 명의 순장자들을 만들어 내고, 나라의 재물로 써도 모자랄 쇠를 죽은 왕과 함께 묻어 버리는 모습을 보며, 우륵은 가야의 미래를 예측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대신 우륵은 신라로 투항한 뒤에도 잊혀져 가는 가야의 소리를 그가 새로 만든 악기로 되살려 내며, 자신의 나라였던 가야에 대해 소극적인 충성을 보인다. 이러한 그의 행동으로도 변절자라는 낙인이 찍힐까 우려스러웠던 지, 소설 속에서는 '우륵'과 대비되는 또 한 명의 인물이 등장한다.

 가야에 무기를 납품하는 대장장이 '야로' 역시 우륵과 마찬가지로 망해가는 가야에 대해 깊은 고찰을 한다. 그리고 그가 선택한 것은 가야 뿐만 아니라, 백제와 신라에도 같은 무기를 보내어 후일에 자신이 망명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 야로는 우륵처럼 '현실적'이었으나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기회주의적' 인물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옳을 것 같다.

 자신이 만든 무기를 신라에 보내어 가야를 공격하게 함으로써 야로는 신라에 의탁하고자 하지만, 신라의 병부령 '이사부'는 백제와의 전투를 치르고 난 뒤, 야로가 백제에도 같은 무기를 납품했다는 사실을 알아 차리고 결국 야로는 이사부에 의해 죽음을 맞게 된다.

 같은 시기에 가야를 저버리고 신라로 투항한 우륵과 야로는 전혀 다른 최후를 맞이하게 된다. 두 사람의 최후는 마치 '현실적'인 시야를 갖고 살아가되, '기회주의적'이 되는 것에 대해서는 경고를 하는 작가의 메시지처럼 보인다.

 '현의 노래'를 읽으면서 우륵의 생애와 가야의 멸망기를 이처럼 생동감있게 상상해 낸 작가 '김훈'의 필력에 다시 한 번 감탄을 하게 되었다. 또한 이번 작품의 경우에는 이 전의 '칼의 노래'나 '남한산성'보다 글의 전개가 더 빠르다는 느낌을 갖게 되었는데, 가만히 생각해 보니 소설 중반 이후에서의 시간이 다른 작품보다 실제로 더 빨리 흐르고 있었다. 소설 종반부에 이르러서는 순식간에 십 여년을 훌쩍 뛰어넘는다는 것을 한 동안 모른채로 읽기도 했으니, 글의 흐름이 빠르긴 빨랐던 모양이다.

 개인적으로 김훈이 계속 역사적 사실을 모티브로 하는 소설을 쓰기를 바란다. 역사를 좋아하기도 하지만, 웬지 모르게 그의 작품을 통해서 접하는 역사는 기존의 역사와는 다른 느낌이고 그래서인지 더 새롭게 느껴진다. 앞으로 읽게 될 그의 작품들이 벌써부터 기다려 진다.